오미사악(五美四惡) 다섯가지 미덕과 네가지 악행
‘존오미병사악(尊五美屛四惡·다섯 가지 미덕을 존중하고 네 가지 악을 물리치다)’의 준말로, 공자의 제자 자장(子張)이 공자에게 정치에 종사할 수 있느냐고 여쭈어보자 한 말이다. ‘오미(五美)’란 “은혜를 베풀면서도 낭비하지 않고, 수고롭더라도 원망하지 않으며, 욕망은 있어도 탐욕은 없고, 느긋하면서도 교만하지 않고, 위엄이 있으면서도 사납지 않은 것이다(惠而不費, 勞而不怨, 欲而不貪, 泰而不驕, 威而不猛).”(논어 ‘요왈(堯曰)’ 편) 이 말에 대해 보충설명을 부탁하자 공자는 친절하게 이렇게 부연했다. 백성들이 이롭게 여기는 바에 따라 이롭게 하고, 그들이 수고롭게 할 만한 일을 가려서 하며, 인(仁)을 이룩하고자 하고, 함부로 오만하게 굴지 않고 의관을 바르게 하면서 적당한 위엄을 갖추되 넉넉한 마음씨..
더보기